우리나라 성인들의 신체활동률이 심각한 수 준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 WHO) 의 조사 결과, 한국의 신체활동률은 전 세계 국 가 순위에서 191 위에 그쳤다. 특히 중년 여 성들의 운동 부족이 두드러졌다. 중년은 몸 의 변화가 심한 연령대이다. 국내 암 환자의 50 % 이상이 50 ~ 60 대이다. 음식 조절과 함께 운동을 해야 건강을 지킬 수 있다. 경각심에 서 운동 부족 실태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 한 여성 19.5 % 에 불 과 …“ 이렇게 운동 안 하나?” 질병관리청이 10 일 우리나라 성인 약 23 만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지역사회건강조사( 지 난해 5 ~ 7 월) 를 심층분석한 결과, 중강도 이상
|
신체활동을 한 비율이 여성은 19.5 % 에 불과 했다. 남성 30.2 % 였다. 나이 들수록 점점 줄 어 70 대 이상은 13.8 % 로 가장 낮았다. 중강도 운동은‘ 노래를 부르면서 하기 힘든 정도 ' 의 강도이다. 세계보건기구( WHO) 의 조사 결 과, 한국의 신체활동 부족률은 58 %( 2022 년) 으로 전 세계 31.3 % 의 1.9 배나 됐다. 신체활 동률이 높은 국가 순위에선 191 위에 그쳤다.
몸의 변화가 심한 중년에 운동했더니 … 이런 효과가?
중년은 몸의 변화가 심한 연령대이다. 질병도
많아 국내 암 환자의 50 % 이상이 50 ~ 60 대이다.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심혈
관질환도 이 시기에 많이 생긴다. 따라서 식습
|
관 조절과 운동은 필수이다. 규칙적인 운동은
심혈관 건강 개선, 체중 조절, 근육 및 뼈 강화,
정신건강에 기여한다.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
을 줄여준다. 특히 심혈관 질환 및 암 사망률을
낮춘다. 제 2 형 당뇨병 예방, 우울증이나 불안증
과 같은 정신 질환의 위험도 줄여준다. 치매 등
인지 건강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숙면, 체중
조절에도 도움이 된다.
운동 안 하고“ 온몸이 아파”… 근감소증, 치매 가 중년에도 많이 생기는 이유?
특별한 병이 없어도 나이가 들면 점점 신체 기
능이 떨어지고 여기저기 아픈 곳이 늘어난다.
중년에 운동을 하지 않으면 노화나 질병 발생
은 더 빨라질 수 있다. 노화에 따라 전신 근육
|
이 감소하는 근감소증, 골다공증, 치매 등이 중
년에도 많이 발생한다. 운동을 통해 근육과 관
절, 대사 기능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 나이가 들
수록 이런 문제에 더 쉽게 노출된다. 운동은 나
이와 관계없이 건강에 좋지만 중년의 운동은 노
년기 건강을 위한‘ 연금저축’ 같은 효과가 있어
더욱 중요하다.
귀찮다고 식사 후 소파에만 앉아 있었더 니 … 내 몸의 변화가?
중강도 운동은 가만히 앉아 있을 때보다 3 ~ 6 배
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활동이다. 빠르게 걷기,
탁구, 배드민턴, 볼룸댄스가 그 예이다. 고혈압,
당뇨병에 걸려도 운동을 해야 심뇌혈관병으로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