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언어 모델( LLM) 을 활용한 인공지 능( AI) 도구가 일상화되면서, 학습과 업무 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평가를 받 아왔다. 하지만 최근 미국 MIT 미디어랩( MIT Media Lab) 연구진은 ChatGPT 와 같은 AI |
도구의 사용이 오히려 인간의 뇌 기능과 학습 능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는 총 4 개월에 걸쳐 54 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세 그룹으 로 나뉘어 △ChatGPT 사용 그룹 △ 구글 검 색 활용 그룹 △ 외부 도움 없이 뇌만으로 에 세이 작성 그룹으로 구성됐다. 모든 참가자 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뇌파 측정 기( EEG) 를 착용한 상태에서 에세이 작성을 수행했다. 그 결과, ChatGPT 를 사용한 그룹은 에세 이 작성 중 뇌의 활동이 눈에 띄게 저하됐으 며, 학습 기억력과 언어 구성 능력, 창의성 등 주요 인지 영역에서 일관된 저하를 보였다. |
실제로 ChatGPT 그룹의 참가자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수, 언어 구성, 뇌파 측면에서 모두 하락세를 보였으며, 이는 단순한 도구 의존이 아닌 뇌 기능 자체의‘ 학습 저하’ 를 시사하는 결 과로 풀이된다. 또한 연구에서는 ChatGPT를 활용한 학생들 이 추후 직접 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했을 때조 차 뇌 활동이 충분히 회복되지 않는 경향이 나 타났다. 반면 구글을 사용한 그룹은 중간 수준 의 뇌 활동을 보였고, 정보 탐색과 사고를 결합 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학습 효과를 얻은 것으 로 분석됐다. MIT 연구팀은“ LLM의 사용은 사용자로 하 여금 도출된 답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인지 적 노력을 줄이게 만든다” 며,“ 이는 알고리즘이 |
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 논문 사전 공개 arXiv 플랫 폼에 발표되었으며, 향후 AI 도구의 교육적 활 용에 있어 보다 체계적인 윤리 가이드라인과 자 기 주도 학습 능력 유지 전략이 필요하다는 문 제의식을 던지고 있다. |
|||
특히‘ 뇌만 사용한’ 그룹은 다른 두 그룹에 비 |
우선순위에 따라 정보를 제시하는 새로운 형태 |
|||||
해 뇌 활성도가 높았으며, 더 창의적이고 독창 |
의‘ 에코 챔버( 폐쇄적 정보환경)’ 로 발전하고 |
|||||
적인 아이디어를 담은 결과물을 제출했다. |
있다” 고 경고했다. |
|||||
연구진은“ 처음에는 ChatGPT 사용의 편리 |
특히 연구진은 ChatGPT 가 제공하는 답변이 |
|||||
성이 분명해 보였지만, 시간이 지나며 인지 기 |
결국 데이터셋과 기업의 알고리즘적 판단에 의 |
|||||
능 저하라는 대가를 치르게 되는 구조였다” 고 |
해 생성된 확률적 응답이라는 점에서, 사용자 |
|||||
설명했다. |
는 그‘ 편향성’ 과‘ 한계’ 를 반드시 인식하고 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