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가 원하는 창의적 결과물 교수들은 분명 성적을 부풀리는 잘못을 한 다. 또한, 각 과목의 60 % 에게만 A 를 주고 교 수들이 자신들의 삶을 망치고 있다고 생각하 는 학생들의 혼란스러운 분노를 참아야 한다. 하버드에서 벌어지는 광경은 더 눈에 띄지만, 그 기저에 있는 문제는 만연하고 만성적이다. 거의 모든 대학에서 학점 인플레이션은 빈번 하고 흔한 일이 되고 있다. 겉보기에 학점 인 플레이션은 해결하기 쉬워 보일 수 있다. 단 순히 출석 기준 점수가 A 가 아니라 그보다 낮 은 점수라는 것을 명확하게 재확인하고, 숙달 과 성취를 보여준 학생들에게만 특별 점수를 주면 된다. 하지만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다. 학점 인플레이션은 캠퍼스에서 이상하고도 심각한 문제가 되었고, 명확한 원인도 해결책 도 없다. 성적 평가 문화가 침식되었다면, 그 것은 수년, 수십 년에 걸쳐 진행된 것이다. 모 든 이유가 나쁜 것은 아니다. 낮은 기준은 1 세 대 대학생과 전통적인 학업 준비도가 낮은 상 |
태로 캠퍼스에 입학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된다. 또한 하버드 보고서에 언급된 창의적 과제 및 그룹 프로젝트와 같은 보다 현대적인 교육 방식도 수용한다. 전반적으로 변화는 너 무나 느리고 꾸준히 이어져 교수진조차 거의 체감하지 못할 정도다. 교수들은 그저 해마다 학생들의 기대치를 조정해 왔을 뿐이고 그 결 과는 후한 점수다. 2000 년대 중반, 선발 기준이 매우 엄격한 공 과대학인 조지아 공대의 강의는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에세이, 공식 시험 등 다양한 유형 의 학생 과제를 포함하고 있었다. 시험은 어 려웠지만, 모든 시험 내용은 강의 시간에서 다룬 내용이었고, 답안은 명확했다. 채점도 간단했다. 창의성과 통찰력을 중시한 교수는 프로젝트와 에세이 평가에 좀 더 주관적이었 |
다. 학생들은 무엇을 원하는지 확신하지 못했 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문제는 교수가 무엇을 원하는 파악하는 것이 과제의 일부라 는 사실이다. 학생들에게 자신의 관심사, 능 력, 관점을 활용해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지 시를 해석하도록 요구했다. 예를 들어, 교수 가 비전통적인 컴퓨터 그림판 프로그램을 만 들 것을 요청한다. 학생이 화면 연못에 가상 의 조약돌을 던져 물결이 부풀어 오르고 사 라지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는 프로그램을 만 든다면 교수가 원하는 것을 완전히 충족시킬 수 있다. 그 학생은 A 학점을 받았을 것이다.
하지만 학생들은 명확한 요구 조건을 제시 하기 시작했다. 학생들에게 작문이나 창작 과 제에서 그 요구 조건만 충족하고 그 이상 아 무것도 하지 않으면 C 를 받을 수 있다. B, 아
|
니 A 를 받으려면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했다. 단순히 더 많이 하는 것이 아니라, 자료를 종 합적으로 이해하고, 창의적인 비전을 구현하 고, 특별히 다듬어서 완성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했다. 늘 그랬던 것처럼 학생들은 교수 사무실에 초대되어 세부 사항을 논의했다. 학 생들은 뭔가 새로운 것을 만들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하는 것을 싫어했다. 과제에 대한 평 가에 대해 늘 불만을 제기했다. 뭘 더 하면 A 학점을 받을 수 있는 지 물었는데 마치 시간 을 더 투여하면 그것이 성취의 대용품인 것처 럼 생각했다. 교수가 학생에게 요구하는 것은 기존의 틀 을 크게 벗어난 창의적인 것이다. 학생들은 창의적인 것을 만들어내는 것에 불평한다.
▶7 면에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