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 중에도 아침에 삶은 달걀, 채소 등 을 먹는 것이 좋다. 단백질이 근육 유지를 돕 고 포만감을 유발한다. 달걀은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 해 완전식품으로 불린다. 다소 과장된 표현이 지만 그만큼 다양한 영양소가 많아 건강에 좋 다는 의미이다. 근육 유지에 좋을 뿐만 아니 라 콜린 성분은 기억력 등 두뇌 활동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몸에 부족하면 신경계 손상이 생길 수 있는 비타민 B12 의 훌륭한 공급원이 기도 한다. 달갈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 |
달걀에 많은 비타민 B12 … DNA 합성- 적혈구- 신경 형성에 기여 달걀은 비타민 B12( 코발라민) 이 풍부하다. 동물성 식품에만 있고 채소나 과일에는 없는 비타민이다. DNA 합성과 적혈구 형성에 영 향을 미친다. 비타민 B12 이 결핍되면 큰 건 강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악성빈혈이 생기 고, 신경계의 핵심을 형성하는 마이엘린 물질 의 합성 저하로 신경계가 망가질 수 있다( 질 병관리청 자료). 달걀은 에너지 생성, 세포 생 성에 필요한 비타민 B2, B6 와 눈 건강에 좋은 비타민 A, 칼슘 흡수, 면역력을 돕는 비타민 D 도 포함되어 있다.
채식만 하는 사람들 … 달걀은 꼭 먹어야 하는 이유? 달걀은 채식만 하는 사람이나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꼭 먹어야 한다. 비타민 B12 는 위에서 만들어지는 내인자( intrinsic factor) 라는 단백질과 결합해야만 흡수되기 때문이 다. 건강한 일반인들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내인자 생산이 줄어든다.
|
악성빈혈, 적혈구 형성 문제, 신경계 손상 등 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달걀 섭취가 내키지 않을 경우 영양제가 대안이 될 수 있다. 질병 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비타민 B12 영양제는 고용량에서도 독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다이어트 중에도 달걀은 먹는 사람들 … 왜? 체중 감량을 위해 탄수화물을 크게 줄이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근육 감소가 그 중 하 나다. 우리 몸이 에너지 부족에 시달려 근육 속의 단백질까지 꺼내 쓰기 때문이다. 이때 단백질이 풍부한 달걀이 도움이 된다. 아침 에 달걀 1 ~ 2 개와 채소를 먹으면 포만감이 커 져서 점심을 덜 먹을 수 있다. 자연스럽게 다 이어트 효과를 낼 수 있다. 달걀 흰자의 단백 질은 뇌 세포를 활성화하고, 오렉신의 분비를 촉진한다. 오렉신은 식욕, 수면 조절 호르몬 으로 부족하면 살이 찌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달걀의 단백질이‘ 특별한’ 이유 … 달걀의 대표 영양소는 역시 단백질이다. 중 간 크기의 달걀 한 개에는 6 ~ 7g 의 단백질이 들어 있다. 이 단백질은 몸에 합성되지 않는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몸에 쉽게 흡수- 이용될 수 있다. 운동을 즐기는 사람에게 특 히 좋다.
|
쌀겨에는 심장바미와 협심증의 원인이 되는 관상동맥 경련을 혈관 이완제보다 더 효과적 으로 예방할 수 있는 페롤산이 많이 들어 있 다. 도정을 덜 한 현미에도 많다. 현미를 물에 불리지 말고 짧은 시간에 밥을 지어야 영양소 손실을 최대한 피할 수 있다. 우리가 자주 먹는 쌀, 커피 등에 있는 천연 화합물인 페룰산이 심장마비와 협심증의 원 인이 되는 관상동맥 경련을 혈관 이완제보다 더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 졌다. 일본 도호대 연구팀은 사람의 심장 동맥과 매우 유사한 돼지 관상동맥을 사용해 페룰산 이 화학적 자극으로 인한 동맥 수축을 현저히 줄인다는 걸 발견했다. 페롤산은 2 가지 메커니즘으로 동맥 경련을 예방했다. 우선 칼슘이 L 형 칼슘 채널을 통 해 근육 세포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해 동맥 의 수축을 막았다. 또 근육 수축에 필수적인‘ 미오신 경쇄( myosin light chain)’ 라는 단백 질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동맥이 조여지는 것 을 방지했다. |
페룰산의 이런 역할은 혈관 이완에 널리 사 용되는 약물‘ 딜티아젬’ 보다 때로 훨씬 더 효 과적이었다. 관상동맥이 경련을 일으켜 갑자기 좁아지면 흉통( 협심증), 심장마비 등 심각한 심혈관 질 환이 생길 수 있다. 도호대 약학부 겐토 요시오카 박사는“ 페룰 산은 식물성이어서 안전하기 때문에 건강 식 품 성분이나 심장 약물로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고 말했다. 페룰산은 천연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쌀, 밀, 사과, 커피 등 다양한 식물에서 발견되며 항 산화, 항염증, 항혈소판 응집, 항섬유화, 항세 포사멸 등 다양한 약리작용이 있다. 페롤산은 쌀의 외피층, 특히 쌀겨( bran) 에 많이 있다. 외피를 약하게 벗긴 현미는 일반 쌀에 비해 페롤산이 많다. 현미로 밥을 지으 면 페롤산이 일부 줄어들 수 있다. 페롤산을 최대한 유지하려면 현미를 불리지 말고 압력 솥을 사용해 짧은 시간 안에 밥을 지어 영양 소 손실을 막아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