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 열이 생기면 무턱대고 집에 있던 약 부터 먹는 경우가 있다. 몸에 독성을 일으킨 중독의 원인 물질은 뜻밖에 치료 약이 가장 많다. 한 사람이 여러 종류의 약을 동시에 복용하 는 경우가 늘고 있다. 약물 오남용, 중복 처 방의 경우 간 손상 등 건강을 해칠 수 있다. |
약 복용 시 조심할 점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 10 종류 이상의 약 먹는 사람“ 너무 많아”… 약 오남용하면 몸 망가진다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을 1 개 이상 진단받고 10 종류 이상의 약을 60 일 이상 먹는 사람이 172 만여 명( 6 월 기준) 이라는 자료가 나왔다. 5 년 전( 2020 년) 에 비 해 53 % 가량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 료). 한 사람이 여러 종류의 약을 동시에 복 용하는 사례는 갈수록 늘고 있다. 약물 오남 용, 중복 처방의 경우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의사에게 현재 먹고 있는 약 종류를 상세히 밝혀 중복 처방을 피 해야 한다. |
치료약에 의한 중독으로 나타났다. 이는 응급
중독 치료를 담당한 15 개 응급의료기관을 대상
으로 조사한 것이다. 해당 약은 아세트아미노
펜이 포함된 진통해열제. 항류마티스제( 20.6 %),
벤조디아제핀계( 19.6 %) 순으로 많았다.
무턱대고 집에 있던 해열제 많이 먹었더니 … 응급실 직행, 왜?
감기 증세가 있으면 무턱대고 집에 있던 약부
터 먹는 경우가 있다. 이전에 복용하고 남은 약
이다. 설명서를 읽어보지도 않고 빨리 증세를
가라앉힌다고 많이 먹기도 한다.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조심해야 한다.
감기약, 두통약, 해열제에 들어 있는 아세트아
|
해 배설시킨다. 하지만 간이 감당할 수 없는 많은 양의 독성물 질이 몸에 들어올 경우 간 자체가 망가질 수 있 다.‘ 귀한 약초’ 라는 말만 듣고 먹었다가 간 독 성으로 건강을 망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약은 약사와 상담한 후 복용하는 게 안전하다. 설명 서도 꼭 읽어야 한다. 치료를 위한 약 때문에 응 급실로 실려가면 안 된다. |
|||
미노펜을 한꺼번에 많이 복용하면 심각한 간 |
||||||
독성 일으킨 중독의 원인 조사했더니 … 뜻밖 에‘ 치료 약’ 이 가장 많아 |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중독 시 빨리 병원 응급
실로 가서 해독제 치료를 받아야 한다.
|
|||||
질병관리청의 자료( 2024 년) 에 따르면 음식이 |
||||||
|
나 약물에 의해 독성을 일으킨 중독의 원인 물
질은 뜻밖에 치료 약이 가장 많았다. 절반이 넘
|
독성 물질 해독하는 간 망가지는 경우 … 검증 된 약도 약사와 상담해야 |
|||||
는 50.8 % 였다. 이어 가스류( 13.6 %), 자연독성 |
우리 몸의 간은 영양소 대사뿐만 아니라 독성 |
|||||
물질( 12.4 %), 인공독성물질( 12.2 %), 농약류 |
물질을 해독하는 기능을 한다. 술이나 약물, 체 |
|||||
( 10.0 %) 순이었다. 특히 10 대의 경우 80.5 % 가 |
내에서 생긴 여러 독소를 해독하여 소변을 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