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부동산
2025 년 11 월 14 일- 2025 년 11 월 20 일 C-5
현재 주택은 셀러 마켓일까 바이어 마켓일까?
시장 상황 식별하는 몇 가지 기준 있어
< 최민기 기자 > 지금 주택 시장은 팔아야 하는 상황일까 아 니면 사야 할 상황인지 애매하다. 경제학자와 부동산 중개인은 종종 전국 부동산 시장을 구 입자에게 유리한 시장 또는 판매자에게 유리 한 시장으로 구분한다. 경제 상황, 특히 주택 관련 상황은 지역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사는 지역이나 도 시가 주택 구입에 유리한 시장인지 집을 팔아 야 하는 시장인지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 판 매자에게 유리한 시장은 가격이 더 비싸고 구 입자에게 유리한 시장은 가격이 더 저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판매자에게 유리한 시장 임에도 집을 구입해야 하는 경우 필요한 전략 이 있고 구입자에게 유리한 상황인데 집을 팔 아야 하는 상황에서 필요한 전략이 있다. 그 리고 이 두가지 전략은 서로 같지가 않아서 무엇보다 시장 상황을 판단하는 것이 가장 중 요하다. 현재 주택 시장은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는 판매자와 구입자 모두에게 불리하고 동시에 유리할 수 있는 과도기의 상황에 있다 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판매자에게 유리한 상황에서 집을 구입하는 전략을 파악하고 구 입자에게 유리한 상황인데 집을 파는 전략을 터득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판매자 시장과 구입자 시장의 구별 기본적으로 구입자에게 유리한 시장은 주택 구입자보다 매물로 나온 주택이 더 많은 시장 이다. 즉, 주택 구입자는 원하는 집을 찾기가 더 쉽고, 거래 과정에서 주택 판매자와 협상 할 가능성도 더 높다. 이 경우 주택 구입자가 유리한 입장에 있다. 이 경우, 대개 주택 가격 이 하락하는 추세에 있다.
판매자 시장에서는 정반대다. 매물로 나온 주택보다 주택 구입자가 더 많기 때문에 주택 판매자는 거래에 대한 통제력이 더 크다. 판 매자 시장에서는 주택 구입자가 입찰 경쟁에 서 경쟁해야 할 수도 있다. 주택 구매자는 원 하는 집을 더 낮은 가격에 구할 가능성, 수리 협상 가능성, 판매자로부터 마감 비용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낮아진다. 이는 주택 가격이
사야 할 시장인 때 팔아야 하기도 하고 팔아야 할 시장인데 구입하는 전략 알아야
떨어지지 않는 상황을 보이면서 다른 인센티 브를 받을 가능성이 매우 적다. 주택 시장은 주택 모기지 대출 이자율, 신규 주택 건설, 고용 시장, 신규 가구 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 통계, 경기침체 여부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거주 지역이 주 택 구입자에게 유리한 시장인지 주택 판매자 에게 유리한 시장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 로는 지역 부동산 중개인에게 문의하거나 거 주 지역이나 도시의 주택 시장 동향을 살펴보 는 것이 정확하다. 특히, 주택 시장은 지역별 로 상황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어느 특정 지 역의 상황을 자신의 거주 지역에도 똑같이 적 용해서는 곤란하다.
주택 시장 구별 7 가지 기준 주택 구입자에게 유리한 시장인지 주택 판 매자에게 유리한 시장인지 판가름하는 7 가지 동향이 있다. 주택 모기지 대출 이자율과 같 이 주택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전국적 요인
이 지역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거주 지역, 도시 또는 지역의 수치를 추적해 주택 구입자에게 유리한 시장인지 주택 판매자에 게 유리한 시장인지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 다. 주목해야 할 몇 가지 수치는 다음과 같다.
매매 가격: 주택 판매자에게 유리한 시장에 서는 주택 구입 수요 증가로 인해 주택 가격 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주택 구입자에게 유리한 시장에서는 매매 가격이 안정적이거 나 심지어 하락하기도 한다. 이처럼 가격 추 세는 시장 상황을 식별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기준이 된다.
매물 가격 대비 매매 가격 비율: 주택 판 매자가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경우, 리스팅 가격보다 높은 가격 제안을 받는 경우가 많 다. 예를 들어, 판매자 시장에서는 매물 리스 팅 가격 대비 매매 가격 비율이 101 % 이상일 수 있는데, 이는 주택이 매물 리스팅 가격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택 구입자에게 유리한 시장에서는 주택 소 유자가 낮은 가격에 매물을 내놓아야 집을 팔 수 있기 때문에 이 비율은 일반적으로 100 % 보다 훨씬 낮다. 즉 판매자에게 유리한 시장 에서는 팔린 주택 가격이 리스팅 가격보다 더 높으며 구입자에게 유리한 시장에서는 리스 팅 가격보다 더 낮은 가격에 집이 팔린다. 그 이유는 판매자에게 유리한 시장에서는 구입자가 더 높은 가격을 제시하게 되며 구입 자에게 유리한 상황에서는 더 낮은 가격을 제 시하더라도 판매자가 승락하는 경우가 많다.
매물 시장 기간: 주택 판매자에게 유리한 시장에서는 주택이 일반적으로 빠르게 판매 된다. 주택이 몇 달 동안 시장에 남아 있다면, 이는 주택 구입자가 시장에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팔리지 않는 주 택이 매물 리스트에 오래 머물게 되면 장기 재고로 불리고 이는 가격을 떨어뜨리는 요인 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현명한 주택 판매자 는 일정 기간 팔리지 않으면 매물 리스트에서 철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매물 재고: 매물 수는 주택 판매자에게 유 리한 시장인지 주택 구입자에게 유리한 시장 인지에 따라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매물 시장 내 주택 수가 전년보다 적을 경우, 판매자가 유리한 입장에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매물이 더 많다면 구입자에게 유리한 시장으로의 전 환을 시사할 수 있지만, 이는 주택 공급이 수 요를 얼마나 잘 충족시키는지에 달려 있다. 주택 매물이 늘어나면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 이 있지만 주택 구매 수요가 늘어나면 가격은 떨어지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매물 증가는 수요 추세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많은 지 적은 지를 의미한다. 가격 인하: 주택 판매자가 최초 리스팅 가격 보다 가격을 낮추기 시작하면 일반적으로 주 택 구입자가 유리한 입장에 놓이게 된다. 이 런 현상이 확산되면 주택 구입자에게 유리한 시장이 형성되었음을 나타낸다. 그렇기 때문 에 리스팅 가격이 하락하는 추세가 나타난다 면 서서히 주택 구입자에게 유리한 시장이 형 성되고 있는 것이다.
▶7 면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