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선영 기자 > 워싱턴 DC는 다른 성장 도시들이 겪었던 최 악의 주택 가격 상승을 피했다. 알링턴 시의 대중교통 중심 역세권 개발이 그 이유로 지목 된다. 대부분 지역에서 주택 가격은 건설 비 용을 훨씬 초과한다. 많은 지역이 점점 더 심각한 주택 공급 문 제에 시달리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임차인은 1980년보다 오늘날 주택에 25 % 더 많은 비용 을 지출하고 있다. 포토맥 강 바로 건너편 버 지니아주 알링턴 시를 필두로 한 워싱턴 DC 지역은 최악의 위기를 피하는 방법을 보여주 었다.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아파트를 집중시 키고, 재정적으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지역 주민들을 부동산을 매입하고, 그 수익을 예산 균형에 사용함으로써 지난 50년 동안 다른 지 역보다 더 많은 아파트를 공급할 수 있었다. 이는 다른 주요 도시들이 배울 수 있는 모델 이기도 하다.
오늘날의 주택 가격 부담 문제는 부분적으 로 경제적 변화와 인구 변화 때문이다. 사람 들이 정보 경제 중심지로 이동하고 제조업 중 심지에서 멀어짐에 따라 주택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경제권으로 이 주하는 사람들은 다른 지역 거주자들보다 더 높은 소득을 올리고, 한정된 부동산 가격을 상승시킨다. 특히 중요한 사례인 샌프란시스 코 베이 지역의 경우, 지난 40년 동안 주택 가 격은 932 % 상승한 반면 전체 소비자 물가는 329 % 상승했다.
미국은 전반적으로 풍부한 토지를 보유하 고 있다. 선벨트 지역에 위치한 댈러스와 애 틀랜타 같은 도시들은 사방으로 뻗어 나가 비 교적 쉽게 주택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국에서 가장 소득이 높은 도시들 중 다수는 신규 그린필드 개발에 대한 지리적 제약과 주 택 건설업체들이 수요가 증가할 때 개발 지 역에 더 조밀하게 건설하는 것을 막는 규제 에 직면해 있다. 이런 지역의 주택 가격은 많 은 사람들에게 부담이 되고 점점 더 부담이 커지고 있다.
|
특히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뉴욕, 보 스턴 등 미국의 4 대 대도시권은 집값이 점점 비싸지면서 고소득 이주자들이 정체된 주택 공급을 더 높은 가격으로 제시하면서 저소득 층과 중산층 가구를 밀어내고 있다. 생산성이 높고 평균 소득이 높은 또 다른 두 ' 슈퍼스타 지역 ' 인 워싱턴 DC 와 시애틀은 신 규 주택 건설을 통해 새로운 주택 수요를 충 족하는 데 더 나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다 른 4 대 슈퍼스타 도시에 비해 토박이 이탈율 은 훨씬 낮다. 워싱턴 DC, 시애틀, 그리고 전 국의 다른 성장 도시들도 자체적인 주택 부 족 문제를 겪고 있지만, 주택 건설에 가장 심 각한 장애가 있는 지역들과 같은 수준은 아 니다.
워싱턴 DC 의 상대적인 성공은 수십 년 전 에 내려진 몇 가지 결정에서 기인한다. 1970 년대, 알링턴 카운티의 정책 입안자들은 워싱
|
턴 DC 를 경유해 알링턴과 메릴랜드주 프린 스 조지 카운티를 연결하는 메트로 오렌지 라 인 개통을 앞두고 ' 대중교통 중심 개발 계획 ' 을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알링턴 정책 입안자들은 상업 지역의 아파 트 건설을 위한 용도 지역 설정이 재산세를 부과하고 기존 주거 지역의 용도 지역 변경 에 따른 논란 없이 예산 균형을 맞추는 데 도 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인근 일 부 관할 구역도 알링턴의 사례를 참고해 워 싱턴 DC 매트로 지역이 미국의 다른 주요 도 시들보다 저렴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 원했다. |
워싱턴 매트로 지역에 대중교통 중심 개발 워싱턴 DC 매트로 지역 내에서 알링턴 카 운티만이 대중교통 노선을 따라 상업용 부지 에 신규 아파트 건설을 허용한 것은 아니다. |
2000년, 북쪽으로 워싱턴 DC와 접한 메릴랜 드주 몽고메리 카운티는 가장 도시화된 지역 인 실버스프링 도심에 고밀도 복합 용도 재개 발 계획을 채택했다. 알링턴과 마찬가지로 실버스프링의 용도 지 역 변경은 카운티의 재정 건전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리고 그 효과는 컸다. 2000 년에서 2004년 사이 실버스프링의 재산세 수 입은 30 % 증가했다. 최근 들어 워싱턴 DC 정 책 입안자들은 베데스다와 화이트 플린트( 최 근 ' 노스 베데스다 ' 로 개칭) 에도 재개발 계획 을 시행했다. 워싱턴 DC는 네이비 야드와 노마( NoMA) 를 포함한 새로운 지하철역이 들어서면서 과 거 산업 지역이었던 지역의 광범위한 재개발 을 허용했다. 2010년 금융위기 이후 워싱턴 DC는 매년 수천 채의 아파트 건설을 허용했 는데, 이는 다른 도시들에 비해 높은 비율이 다. 알링턴과 마찬가지로, 워싱턴 DC는 주로 과거에 산업 또는 저부가가치 상업 개발 지역 이었던 부지에 재개발을 허용했는데, 이 지역 에는 신규 건설에 반대하는 주민이 거의 없거 나 전혀 없다. 2010년, 알링턴 서쪽에 위치한 페어팩스 카 운티의 정책 입안자들은 실버 라인 건설에 앞 서 4평방마일 규모의 타이슨스( Tysons) 지 역에 대한 대규모 재개발 계획을 채택했다. 타이슨스는 교통 체증, 두 개의 고급 쇼핑몰, 그리고 수많은 교외 오피스 단지로 유명하다. 이 계획이 채택되었을 당시 타이슨스의 주택 수는 1만 채도 채 되지 않았고, 그중 절반은 임대 주택이었다. 사무실 임차인들은 타이슨스를 떠나 직원 들이 선호하는 활기 넘치는 워싱턴 DC와 알 링턴 지역으로 이사했고, 빈 건물들은 그대 로 남게 되었다. 알링턴과 마찬가지로, 페어 팩스 카운티 정책 입안자들은 타이슨스의 재 개발을 세수 기반을 강화하고 단독 주택 소 유자의 재산세 인상 필요성을 피하는 방법으 로 여겼다.
▶6면에 계속
|